세부내용 |
“의사소통 역량의 이해”
- 왜 소통이 중요한가?: 의사소통 역량의 필요성
- 의사소통 역량의 요소
- 소통에서의 문제점(말하는 사람 VS 듣는 사람)
- 나의 의사소통 스타일 인지: 자기진단 및 분석
1) 조직/대인관계/개인적 측면
2) 조하리의 창: ‘나’ 탐색
3) 자아개념의 측정
“의사소통의 기술”
- 타인과의 소통 이해: 감각 유형의 분석(나 VS 타인)
- 표현하고 이해하기
1) 자기 표현하기: 자신의 태도, 가치관, 생각, 아이디어 등 자기 드러내기
2) 비언어적 의사소통: 비언어적 신체 스킬(표정, 몸짓 등)
3) 효과적인 경청: 능동적인 경청, 감정이입을 수반한 경청, 개방적인 경청, 이해를 수반하는 경청, 정보수집
4) 표현: 관찰한 것, 생각한 것, 느낀 것, 요구사항
- 영상&매체 간 코드 전환, 디지털 매체의 이해
“효과적인 의사소통 트레이닝”
- 감성 커뮤니케이션
- 주장적 커뮤니케이션
- 논리적 커뮤니케이션
- 조직 커뮤니케이션: 회의, 토론, 조직문화 등
- 발성, 음성 이미지 훈련
|